이 둘은 같은 복합 조정이지만, 조정의 성격과 구성 요소의 패턴에 차이가 있습니다.
일단, 지그재그는 가격 조정에 속하고, 플랫과 삼각형은 기간 조정에 속합니다.
따라서 이들의 발전된 형태인 복합 조정 또한 같은 성격을 띠는데요.
다중 지그재그는 가격 조정 패턴으로서 이전 상승폭을 0.618 만큼 되돌리고,
다중 삼파는 기간 조정 패턴으로, 이전 상승폭을 0.382 만큼 되돌립니다.
즉, 다중 지그재그가 조정의 폭이 훨씬 깊습니다.
두 번째 차이점은 구성 요소의 패턴인데요.
W-X-Y 또는 W-X-Y-X-Z로 구성되는 구조는 동일하지만,
첫 번째 구성 요소인 W 파동이 다릅니다.
다중 지그재그는 W가 지그재그인 반면, 다중 삼파는 W가 플랫이죠.
즉, 조정의 첫머리에 지그재그가 오느냐, 플랫이 오느냐의 차이입니다.
다중 삼파는 기간 조정 패턴이므로, 길게 횡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기간 조정의 성격을 지닌 만큼, 지그재그는 최대 하나만 포함될 수 있죠.
기본구조는 플랫의 결합 형태이지만, (나중에 배울) 교대의 지침에 따라
마지막 파동엔 삼각형, 지그재그 등이 오는 게 일반적입니다.
이론상 X파동은 모든 조정 패턴일 수 있지만, 여기서는 삼각형일 확률이 낮습니다.
앞 장에서 다뤘듯이, 삼각형은 마지막 작용 파동 앞에서만 나오니까요.
파동의 구성에 있어서,
충격 파동은 5파를 기본으로, 9파나 13파로 연장되지만,
조정 파동은 3파를 기본으로, 7파나 11파로 혼합됩니다.
따라서, 진행 중인 조정 패턴의 경계가 모호할 때는, 전체 파동수를 세는 게 도움이 됩니다.
만약, 겹치는 파동이 적고, 파동수가 9파나 13파라면 충격 파동일 것이고,
겹치는 파동이 많고, 파동수가 7파나 11파라면 조정 파동일 확률이 높습니다.
단, x파동은 1파로 계산합니다.
이상으로 조정 파동의 패턴에 대한 정리를 마칩니다.
다음장부터는 조정 파동의 주요 지침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4. 조정 파동의 깊이 (1) | 2022.01.09 |
---|---|
13. 교대 (Alternation) (0) | 2022.01.08 |
11. 삼각형 (Triangle) (0) | 2022.01.06 |
10. 플랫 (Flat) (2) | 2022.01.05 |
9. 지그재그(Zigzag) (0) | 2022.01.0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