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4. 조정 파동의 깊이

엘리어트 파동이론

by 금빛승천 2022. 1. 9. 16:57

본문

 

(1) 조정 파동의 최대 깊이

 

조정 파동의 최대 깊이는 이전 충격 파동의 네 번째 파동 저점까지입니다.

물론 추세가 강할 경우, 조정의 깊이는 이보다 얕을 수 있고요.

그림 14-1. 조정의 최대 깊이

 

가장 최근의 비트코인 주봉을 보면, 조정 파동의 깊이가 지침대로 형성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림 14-4. 비트코인 주봉

 

이론상, 이 지침은 2번, 4번 파동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그림 14-2. 2번, 4번 파동의 조정의 깊이

 

하지만, 실제 사례에서는 2번 파동과 4번 파동의 깊이가 다르게 적용되는데요.

먼저, 약세장의 파동이 4번일 때는 원래의 지침대로 가면 되지만,

2번 파동이 약세장으로 나타나거나, 1번 파동에서 연장이 나온 경우엔

조정의 깊이가 이전 충격 파동의 2번 파동으로 낮아집니다.

그림 14-3. 지침의 예외 적용

예외라곤 하지만, 어렵게 생각할 게 없습니다.

원래, 2번 파동은 조정이 깊으니까요.

실제 사례에서는 1번 파동을 90% 넘게 되돌리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2) 5번 파동이 연장된 직후의 조정

 

동인 파동에서 5번 파동이 연장될 경우, 이후에 나타나는 조정의 형태는 가격 조정이 됩니다.

또한 조정의 최대 깊이는 연장된 파동의 2번에서 형성되거나, 

조정 파동의  A 파동만 지지되기도 합니다.

단, 이 지침은 내부 파동에 속하는 충격 파동에는 적용되지 않고,

동인 파동에서만 적용된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림 14-5. 5번 파동의 연장과 조정의 깊이

 


 

이상으로 조정 파동의 깊이에 대한 정리를 마칩니다.

이것으로 파동의 지침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일단락된 것 같습니다.

다음 장에선 채널을 그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엘리어트 파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채널의 작성(Channeling)  (0) 2022.01.11
15. 궤도 (Channel)  (0) 2022.01.10
13. 교대 (Alternation)  (0) 2022.01.08
12. 다중 삼파 (Multi Three)  (1) 2022.01.07
11. 삼각형 (Triangle)  (0) 2022.01.06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