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0. 플랫 (Flat)

엘리어트 파동이론

by 금빛승천 2022. 1. 5. 10:47

본문

(1) 플랫 (Flat) : 3-3-5

 

플랫은 지그재그와 달리, 내부의 A 파동이 5파가 아닌 3파로 끝나는데요.

이는 힘이 약하다는 반증인만큼, 전체적인 조정의 폭도 얕습니다.

플랫은 추세가 강할 때 발생하며, 추세의 힘이 강할수록  크기가 짧아집니다.

주로 연장파동을 앞서거나 뒤따르며, 4번 파동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패턴입니다.

만약 2번 파동이 지그재그라면, 4번 파동은 플랫일 확률이 매우 높죠.

플랫은 정상 플랫 (Regular Flat), 확장 플랫(Expanded Flat), 가속 플랫(Running Flat)의 세 종류가 있는데요.

세 패턴의 차이점은 B파동의 되돌림 정도와 상하단 궤도의 방향입니다. 

그림 10-1. 플랫의 종류

 


 

(2) 플랫의 종류

 

1. 정상 플랫 (Regular Flat)

정상 플랫이라고 불리는 이 패턴은 파동 A와 B가 같은 수준인데요.

수평 궤도로 횡보하는 패턴입니다. (그림 10-1 참조)

그림 10-2. 정상 플랫

 

2. 확장 플랫 (Expanded Flat)

엘리엇은 이 패턴을 비정상 플랫 (Irregular Flat)이라 불렀지만, 

발생빈도는 오히려 정상 플랫보다 높습니다.

A < B < C 순으로 파동의 크기가 커지면서 궤도가 확장되는 패턴입니다.

김중근 씨의 책에선 엘리엇의 견해를 그대로 따르면서

이 패턴을 불규칙 조정(Irregular Correction)이라 소개했는데, 프로스트는 이 견해를 인정하지 않았죠. 

나중에 따로 포스팅으로 다룰 예정이니, 여기서는 깊게 다루지 않겠습니다.

그림 10-3. 확장 플랫

 

3. 가속 플랫 ( Running Flat)

가속 플랫은 추세가 엄청 강할 때, 조정이 미쳐 마무리되지 못하고 쓸려가는 패턴입니다.

확장 플랫과 비슷한 모양이지만, C파동이 미달되면서, 궤도가 방향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자칫 B파동을 충격 파동의 1번으로 착각할 수 있는데, 이럴 땐 파동의 개수를 확인해야겠죠?

다만, 책에서는 가속 플랫이 나온 사례가 거의 없다고 했으니, 매우 드문 패턴일 겁니다.

따라서, 가속 플랫이 의심되는 상황이면, 삼각형이 될 확률이 높겠죠.

그림 10-4. 가속 플랫

 


 

이상으로 플랫 패턴에 대한 정리를 마칩니다.

다음 장에선 삼각형 패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다중 삼파 (Multi Three)  (1) 2022.01.07
11. 삼각형 (Triangle)  (0) 2022.01.06
9. 지그재그(Zigzag)  (0) 2022.01.04
8. 쐐기형(Diagonal Triangle)  (4) 2022.01.03
7. 절단 파동  (5) 2022.01.02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