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7. 절단 파동

엘리어트 파동이론

by 금빛승천 2022. 1. 2. 10:39

본문

새해 인사가 늦었네요.

2022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다들 새 해엔 이루고자 하시는 일들 꼭 이루시고,

행복하고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저도 이제 막 블로그를 시작했지만, 하루하루 숙제를 하는 기분으로 포스팅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제가 처음 엘리엇 파동이론을 공부하면서 겪었던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여러분들은 겪지 않았으면 하거든요.

언제가 될 진 모르겠으나, 파동이론에 대한 정리가 일단락되면, 본격적으로 차트 분석을 해나갈 예정이니,

저랑 같이 공부하는 기분으로 자주 방문해주셨음 합니다.

그럼 이제 오늘의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1) 절단

 

미달(Failure)이라고도 불리는 이 현상은 5번 파동이 3번 파동에 못 미치는 경우를 말합니다.

3번 파동이 너무 강력할 때 나오는 현상이죠.

일반적으로 3번 파동은 실적장세, 5번 파동은 금융장세로 비유되는데요.

5번 파동의 상승 동력은 기대심리라고 볼 수 있는 만큼,

3번 파동이 지나치게 강력할 경우, 기대심리의 상쇄효과로 인해

5번 파동의 상승 동력도 약해지는 거죠.

 

그림 7-1. 5번 고점이 3번 고점에 미달

 

설령 3번 파동의 고점을 돌파하더라도, 아래 그림처럼, 채널 상단에 한참 못 미치는 모습입니다.

채널링에 대해선 나중에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그림7-2. 5번 고점이 채널 상단에 미달

 

 

절단 파동이 나왔을 때, 잘못된 해석은 아래 그림의 (x)처럼 동인 파동을 조정파동으로 해석하는 겁니다.

 

그림 7-3. 절단 파동의 상반된 해석

 

이때는 내부 파동의 개수를 확인해야 하는데요.

(X)를 보면, 1번 파동과 2번 파동의 개수가 서로 반대죠?

즉, 충격 파동과 조정 파동의 개수가 틀렸습니다.

 


 

그림 7-4. 절단 파동과 정통 고점

 

절단 파동이 나왔을 땐,  3번 파동의 고점이 더 높더라도, 미달된 고점을 정통 고점으로 해석합니다.

5파 패턴을 마무리하는 건 5번 파동이니까요.

즉, 절단 파동에서 전체 상승폭을 계산할 때는 1번 파동부터 3번 파동까지를 보지 말고,

1번 파동부터 5번 파동까지를 전체 상승폭으로 봐야 합니다.


 

이것으로 동인 파동의 첫 번째 패턴인 충격 파동에 대한 정리가 끝났네요.

다음 장에서는 동인 파동의 두 번째 패턴인 쐐기형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지그재그(Zigzag)  (0) 2022.01.04
8. 쐐기형(Diagonal Triangle)  (4) 2022.01.03
6. 연장 파동  (4) 2022.01.01
5. 충격 파동의 규칙  (1) 2021.12.31
4. 동인 파동과 조정 파동  (2) 2021.12.3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