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5. 충격 파동의 규칙

엘리어트 파동이론

by 금빛승천 2021. 12. 31. 10:25

본문

(1) 규칙의 개요

 

5파 패턴에 적용되는 규칙은 다음의 3가지이며, 충격 파동에만 예외 없이 적용됩니다.

 

1)    파동 2는 파동 1의 시작점을 넘지 않는다.

2)    파동 3은 가장 짧은 파동이 될 수 없다.

3)    파동 4는 파동 1의 끝점을 넘지 않는다.

 

여기서 고점, 저점이란 용어 대신 시작점, 끝점이란 용어를 쓰는 이유는

상승 5파-하락 3파만 있는 게 아니라, 하락 5파-상승 3 파도 가능하기 때문이죠.

이 부분은 프렉탈 편에서 이미 자세히 다루었습니다.

 

하락 5파의 관점에서 규칙을 서술하면,

 

1) 파동 2가 파동 1의 고점을 넘지 않는다.

2) 파동 3은 가장 짧은 파동이 될 수 없다.

3)  파동 4는 파동 1의 저점을 넘지 않는다.

 

용어를 바꾸니, 더 쉽게 와닿긴 하네요.


 

(2) 충격 파동의 세 가지 규칙

 

1) 파동 2가 파동 1의 시작점을 넘지 않는다.

 

2번 파동이라고 생각해 매수를 했는데 그림과 같이 1번 파동의 저점을 깨고 내려간다면?

 

 

손절하고, 기다려야 합니다.

조정이 완전히 끝나고, 1번 파동이 완성될 때까지요.

초보자들이 엘리엇 파동을 적용할 때 저지르는 치명적인 실수는

조정의 끝을 잡으려고 섣불리 예측하는 것이죠.

발바닥 각질부터 발라먹겠다는 탐욕은 절대 금물입니다.

어차피 2번 파동은 되돌림 폭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1번 파동이 확실히 완성된 뒤에 진입 준비를 해도 결코 늦지 않습니다.

조정이 한 발 남았을지, 두 발이 남았을지는

아무도 알 수 없음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2) 파동 3은 가장 짧은 파동이 될 수 없다.

 

 

이것은 3가지 법칙 중 가장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3번 파동이 충격 파동의 핵심이니까요.

충격 파동은 의미 있는 전진을 이루는 게 목표입니다.

그러기 위해선 3번 파동이 강력하게 나아가야 합니다.

그런데 3번 파동이 가장 짧다면?

 

뒤에 오는 4번 파동의 위치도 같이 낮아지면서, 1번 파동과 겹칠 확률이 높아집니다.

즉, 2번 규칙이 무너지면, 3번 규칙도 같이 무너지는 겁니다.

일반적으로, 모든 파동 중에 세 번째 파동이 가장 강합니다.

충격 파동에서는 3번 파동, 조정 파동에서는 C파동이 그렇죠.

 


 

3) 파동 4는 파동 1의 끝점을 넘지 않는다.

 

앞서 말했듯이 3번 파동은 힘이 강하기 때문에,

다음에 오는 4번 파동은 위치상 1번 파동과 겹칠 수가 없습니다.

 

만약 4번 파동이 1번 파동과 겹친다면, 아래 그림처럼 3번 파동의 연장으로 카운팅을 수정해야겠죠.

 


 

이상으로 충격 파동의 규칙 3가지를 정리해봤습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절단 파동  (5) 2022.01.02
6. 연장 파동  (4) 2022.01.01
4. 동인 파동과 조정 파동  (2) 2021.12.30
3. 파동의 주기와 등급  (1) 2021.12.29
2. 프렉탈의 적용  (2) 2021.12.28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