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4. 동인 파동과 조정 파동

엘리어트 파동이론

by 금빛승천 2021. 12. 30. 10:41

본문

이번 편에서는 엘리엇 파동의 전체 구조와 특징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큰 그림을 파악하고 나면, 파동이론에 대해 체계적인 접근이 가능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만의 데이터를 쌓아갈 수 있을 겁니다.

 

 

(1) 동인 파동

 

그림 4-1. 벤다이어그램

 

파동을 패턴으로 분류하면 크게 동인 파동과 조정파동 그리고 삼각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위 그림과 같이 삼각형은 교집합의 영역에 속합니다.

즉, 동인 파동에 발을 걸친 쐐기형 파동(Diagonal Triangle)과

조정 파동에 발을 걸친 삼각형(Triangle) 파동. 이렇게 두 종류가 있는 거죠.

이에 따라,  동인 파동은 충격 파동(Impulse)과 쐐기형(Diagonal Triangle)의 두 가지로 나뉩니다.

그림 4-2. 동인 파동의 종류

 

둘 다 동인 파동으로서 5개의 파동을 갖지만, 그 성격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충격 파동(Impluse wave)은 전진하는 동인 파동의 성격을 그대로 가지고 있고,

쐐기형(Diagonal Triangle)은 동인 파동으로서 전진을 이루기는 하지만,

조정 파동의 성격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이죠.

이는 파동의 표기를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 알파벳이 아닌 숫자로 파동을 표기한 게 보이시죠?

만약, 쐐기형이 조정 파동이었다면 A, B, C, D, E로 표기했을 겁니다.

다만, 쐐기형이 순수한 동인 파동은 아니기에 , 5파 패턴의 세 가지 규칙은 따르지 않습니다.

이 부분은 다음 편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이니,

우선은 '충격 파동과 쐐기형 파동은 이란성쌍둥이'라는 점만 기억하세요.

 


 

(2) 조정 파동

 

이제 조정파동을 알아보겠습니다. 

조정파동은 크게 지그재그(Zigzag), 플랫(Flat), 삼각형(Triangle)으로 분류됩니다.

지그재그는 복합 조정으로 갈 경우,

이중 지그재그(W-X-Y)와 삼중 지그재그(W-X-Y-X-Z)로 구성되며, 

플랫은 복합 조정일 경우, 이중 삼파(W-X-Y), 삼중 삼파(W-X-Y-X-Z)와 같은

복잡한 변형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그림 4-3. 개별 조정과 복합 조정

 

삼각형은 수렴형과 확장형이 있으며, 수렴형은 상승과 하강의 변형을 가집니다.

그림 4-4. 삼각형

 


 

오늘은 파동의 전체적인 분류와 간략한 특징을 다뤘는데요.

다음 시간엔 5파 패턴의 규칙에 대해 자세히 다뤄볼 예정입니다.

긴 글 읽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연장 파동  (4) 2022.01.01
5. 충격 파동의 규칙  (1) 2021.12.31
3. 파동의 주기와 등급  (1) 2021.12.29
2. 프렉탈의 적용  (2) 2021.12.28
1. 파동의 구조와 종류  (6) 2021.12.27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