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조정 파동의 비율 관계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다소 긴 내용이니, 집중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전체 국면을 1로 볼 때, 황금분할 지점이 조정의 깊이가 되는데요.
대체적으로 조정의 끝점은 0.618 또는 0.382가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조정파동 전체를 바라보는 관점이며,
내부 파동의 비율 관계는 되돌림이 아닌 배수의 관점으로 분석합니다.
위 그림에서 보듯이, 조정의 성격에 따라 되돌림 비율은 달라집니다.
가격조정의 성격인 지그재그패턴은
2번 파동, 지그재그 안의 B파동, 다중 지그재그 안의 X파동으로 나타나며,
앞선 파동을 0.618 또는 0.5만큼 되돌립니다.
반면, 기간조정의 성격인 횡보 조정은
플랫, 삼각형, 이중삼파, 삼중삼파로 나타나고 0.382만큼 되돌립니다.
지그재그에서 파동 C는 대개 파동 A와 같지만,
1.618배 내지 0.618배인 경우도 많습니다.
이러한 관계는 이중 지그재그 안의 파동 W와 Y에도 똑같이 적용되고요.
플랫은 일반형 패턴에서는 아래 첫 번째 그림처럼 A, B, C가 비슷한 길이를 갖지만,
확장형일 땐 파동 B와 C가 모두 파동 A를 능가합니다.
이때 파동 B는의 1.236배 또는 1.382배가 되며,
파동 C는의 1.618배가 되거나, 파동A를 0.618배만큼 초과합니다.
드물지만, 파동 C가 파동 A의 2.618배가 되기도 하죠.
삼각형은 한 칸 건너뛴 파동 중 적어도 두 개는 서로 0.618의 비율을 형성합니다.
즉, 파동C = 0.618 A, 파동D = 0.618B, 파동E = 0.618C 가 되는 것이죠.
물론, 확장 삼각형일 땐 0.618의 역수인 1.618을 적용합니다.
드물게는, 인접 파동 간에 비율이 형성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배수 비율은 한 칸 건너뛴 파동 간의 관계라는 걸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다중삼파에서는 대체로 W, Y, Z가 서로 비슷한 크기이지만,
셋 중 하나가 삼각형일 땐, 다른 조정파동 대비 0.618의 비율을 형성합니다.
동인 파동 내에서, 4번 파동은 2번 파동과 같은 비율이거나,
피보나치 비율의 관계를 형성하는데요.
이는 조정파동으로서의 되돌림 비율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두 파동 간의 직접적인 비교 관계를 말하는 것입니다.
보통 2번 파동의 되돌림이 0.618, 4번 파동은 0.382로
직전 충격 파동 대비로는 다른 비율이지만,
둘을 직접 비교하면 파동의 크기는 서로 비슷하거나,
피보나치 비율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죠.
이상으로 조정 파동의 비율에 대한 설명을 마칩니다.
25. 파동의 중첩과 비율 (10) | 2022.06.14 |
---|---|
23. 동인 파동의 비율 관계 (0) | 2022.06.13 |
22. 수열과 파동 (0) | 2022.06.04 |
21. 수열의 확장 개념 (0) | 2022.06.04 |
20. 수열의 진행 방향 (1) | 2022.06.04 |
댓글 영역